미디어영상학과(폐과후 신설, 2023학년도부터)
- 인문사회 텍스트 읽기 (Reading Text of Humanities & Society)
-
본 과목은 대중의 의식과 감성을 대상으로 하여 콘텐츠와 창의를 발현시키는 언론학과 전공생이라면 선험적으로 접해야 할 미디어 텍스트들을 탐독하는 수업이다. 이를 통해 대중의 욕구와 당대 사회의식 등을 진단 파악하는 분석력을 키우며, 언론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어젠다(agenda)를 발굴하는 안목도 키운다. 텍스트 속의 다양한 사회 상황과 인간의 유형, 삶의 패턴 등을 고찰함으로써 본인의 세계관을 확장시키는데 반영할 수 있다. 자유로운 토론 수업으로 진행되며, 학생 개인의 관점과 비평을 교류하여 서로 간의 이해의 폭을 넗히기에 주력한다.
- 스토리텔링과마케팅 (Storytelling and Marketing)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이 소통이라면, 소통을 가능케 하는 것은 설득입니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곧 설득전문가가 된다는 말과 같다. 이 수업은 설득의 원리를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이해하고, 현실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익혀 설득역량을 키우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설득기법과 이론을 통해 현실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영상제작과정의 이해 (The basis of broadcasting production)
-
영상산업 시대를 이끌어 갈. 영상제작 및 영상물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일련의 제작과정 전반을 이끌어 나가는 영상 제작의 핵심적 업무배양과 폭 넓은 지식으로 사회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 풍부한 인간성과 영상제작자로서의 감성, 스태프를 이끌어 나가는 리더십, 새로운 것을 개발하는 창의력 등 전문연출가가 갖춰야 할 실질적인 내용을 교육한다. 영상제작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제작기술과 기본소양을 습득할 수 있으며 영상제작의 기본적 능력을 연마하기 위하여 영상제작의 기초분야를 공통으로 교육을 한다.영상제작과정에서 영상제작의 기획, 연출 및 촬영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표현력이 풍부하게 되어 우수한 영상을 제작해 낼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두고 있습니다.방송콘텐츠 기획, 방송콘텐츠 연출 등의 기초지식등 창의적 기술을 바탕으로 영상제작기획,영상프로그램의 기획에서 완성까지 영상의 디자인적 접근을 위하여 요구되는 연출 기법과 기존의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연출가들의 연출 기법 등을 학습하고 실습을 한다.
- 영상학카페 (Understanding Visual Communication)
-
이 과목은 영상을 중심으로 하는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현상 및 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제적인 영상 읽기 및 비평을 학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영상이 커뮤니케이션하는 독특한 방식에서부터 제 형식적·서사적 구성 요소들과 맥락, 기술, 미디어적 속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을 고려하는 일이다. 학생들은 수업교제 뿐만 아니라, 교수의 다양한 예시들을 통해서 영상 언어에 친숙해지고 나아가 시각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미디어입문론 (An Introduction to Media)
-
매스미디어와 함께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매스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비판적 사고는 필수적이다. 본 강의는 미디어의 소비자로서 갖추어야 할 미디어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비판적 시각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매스미디어가 구성해주는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중점을 두고, 미디어의 현실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영상편집그래픽의 실제 (Broadcasting Editing & Graphic Practice)
-
UCC 기획, 제작, 편집 및 활용에 관련된 디지털영상문화 및 기획, 카메라(스마트 어플리케이션) 원리 및 사용법, 선형(영상 테이프를 직접 사용하여 영상을 편집) 및 비선형(영상 편집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편집) 편집, 코덱/디지털 영상 파일 등 이론을 학습하고 Windows Movie Maker 혹은 Premiere를 활용한 디지털영상 편집 실습을 한다. UCC를 제작, 활용을 원하는 학생의 전문적인 이론 배경과 기술적인 편집 능력을 배양한다.
- 스피치클리닉 (Speech Clinic)
-
영상인이 되고 싶다면 필수! 바른 방송 언어를 사용하는 데 기본을 배운다. 아이들은 물론 외국인들도 한국의 드라마를 비롯한 방송을 보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습니다. 그런 방송을 만들어갈 언론인으로 기본적인 교양을 쌓고, 모니터와 실습을 통해 방송 언어를 연습한다. 리포터, 아나운서, 방송기자의 현장 리포팅을 포함한 전반적인 방송인들의 방송 화법을 모니터 하며 익히고 연습한다. 인기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비정상회담부터 뉴스까지 방송을 모니터하고 방송언어를 분석해 트렌드를 읽으며, 이시대가 요구하는 방송인이 되기 위한 기본을 익힌다.
-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Understanding digital media)
-
현대사회는 지금 제4차 산업혁명기에 접어들고 있다. 따라서 사회변화의 주 원동력인 디지털기술에 대한 심층적 이해없이는 제대로 된 적응이 쉽지 않다. 이에 이 과목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의 주된 계기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의 핵심원리에 대해 기술적, 철학적, 사회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 신문읽기 (Reading Newspaper)
-
저널리즘과 연관된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인간과 사회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사회에 대한 관심은 언론학도가 견지해야 할 기본 소양 중의 하나이다. 언론학도가 갖춰야 할 이러한 기본 소양이 (종이)신문읽기 습관의 형성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인식 아래, 본 강의는 신문지면의 기사를 통해 한국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쟁점들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캐릭터와 스토리텔링디자인 (Character Making and Storytelling Design)
-
현대사회애서 스토리텔링은 확고한 영역으로 구축되고 있다. 따라서 영상과 스토리 등 결합의 병렬식 콘텐츠 구성력은 다양한 정보와 문화의 생산을 확대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OSUM(one sourse mult- use) 방식의 미케팅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스토리텔링을 지향하는 수업을 진행한다. 폭넓은 미디어, 언론 영역에 종사할 수 있는 전문 필자를 향한 훈련 과정의 수업이다.학생 각 개인의 선택 장르에 대해 피드백 하는 맞춤식 수업이 진행된다.
- 광고크리에이티브철학 (Advertisement Copy Practical Training)
-
철학적 함의를 파악해야만 광고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다. 광고는 기업 또는 제품의 상업적 메시지에서 출발하지만 철학적 본질에서 바라보면 기호적 가치(sign value)를 지니고 있다. 『광고 지성과 철학의 지평선』은 철학적 접근은 물론이고 언어적 측면에서의 기호적 해석방법과 광고 크리에이티브 철학 그리고 상품미학까지도 다룬다. 광고와 마케팅의 문화적 코드에 대한 해석 및 테크놀로지 측면에서의 철학적 해석도 중요하다. 그리고 광고의 존재론적 의미와 더 나아가서는 광고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해석까지 다룸으로써, 그야말로 광고철학 분야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이해하고자 한다.
- 디지털저널리즘의 이해 (Understanding Digital Journalism)
-
이 수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실제 뉴스 미디어를 학생들이 직접 제작함으로써 실무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수강생들은 각자의 경험과 관심, 지향,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터넷 대안 미디어를 제작한다. 수강생들의 자율적인 토론과 판단에 따라 매체 형식과 콘텐츠를 기획하고, 취재와 기사 작성뿐 아니라 기사 가치 판단, 제목 붙이기, 사진과 영상 배치 등 인터넷 뉴스 편집 실무 전반을 두루 경험해본다.
- 취재보도론 (An Introduction to Journalistic Coverage)
-
기자가 하는 일은 크게 두 가지, 취재와 보도이다. 취재란 뉴스거리를 수집하는 일이고, 보도는 이를 글이나 사진 영상물 등으로 전달하는 일이다. 이 수업을 듣는 학생은 한 학기동안 예비 기자가 되어 이 같은 취재와 보도를 실습한다. 뉴스란 무엇이고 어떻게 취재하고 보도하는지 배우고 익혀서 실제 완성된 기사를 작성한다. 이 수업은 이런 취재 및 기사쓰기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업은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되, 실습에 더 무게를 두고 진행합니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요구하는 여러 형태의 기사를 작성 제출해야 하며, 수업시간에도 별도로 기사작성 실습을 하게 된다.
- 대중문화와 영화비평 (Popular Culture and Cinema Criticism)
-
대중문화에 대해 접근하는 이론적 틀을 접하고 그 틀과 함께 현재적 문화양상에 대해 토론한다. 문화는 넓은 의미로는 인간의 삶 자체이고, 대중문화란 우리의 살아가는 한 방식에 대한 연구일 수 있다다. 이 수업의 마지막에는 팀별로 시의성 있고 트렌디한 대중문화 쟁점을 가져와서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이 있다. 즉, 이 수업은 최근의 대중문화 트렌드에 부합하는 미디어 콘텐츠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이론적 렌즈를 제공하고. 학생들은 영화비평의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실습한다.
- 영상시나리오와시각화연습 (Video Scenario and Visualization Practice)
-
스토리보드를 그리는 일은 머릿속의 아이디어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으로 영화 제작자, 애니메이터, 광고 감독, 시나리오 작가, 비디오 게임 아티스트라면 꼭 습득해야 할 커뮤니케이션 도구이다. 이 수업의 목적은 전문가 수준의 스토리보드를 만들어낼 핵심 비법을 이해하는 데 있다.
- 미디어경제학의 이해 (Understanding Media Economics)
-
한국의 미디어 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경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과목이다. 한국의 미디어 기업이 소비자의 필요를 반영하여 어떻게 미디어 상품을 제작하는지, 그리고 제작된 상품을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소비자에게 도달하며, 이 과정에서 수익의 배분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다룬다. 또한 미디어 기업 간에 이루어지는 방송 프로그램의 거래, 채널의 거래 그리고 미디어 기업의 거래도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미디어 시장의 참여자들 행위에 영향을 주는 기술의 발전과 구조적인 요인에 대해서도 이해한다.
- 미디어콘텐츠와 비평 (Media Contents and Criticism)
-
이 수업은 미디어 비평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일반적으로 미디어 비평 혹은 매체비평이라는 용어는 전문가들이 행하는 학문적이거나 시사적인 논의로 인식된다. 실제로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 신문기사에 대한 비평은 기호학이나 정신분석학, 미학적 분석에 치중하여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관심을 끌기 어려운 내용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수업은 뉴스나 그 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광고 같은 미디어 산물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항목에 대한 분석과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며, 성공적인 미디어콘텐츠 사례에 대한 실제적 분석을 시도해 본다.
- 미디어영상콘텐츠제작 (1) (Video Production Practical Training (1))
-
영상제작실무 과목은 영상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영상제작의 심화이론과 실습을 체험하여 영상 중에서 방송 매체의 특성과 그에 따른 제작과정을 경험하게 하기 위해서 편성됨.- 영상 기획에서부터 완성에 이르는 과정을 철저히 훈련하여 그 결과물을 우수한 창작 작업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완성도를 높이는 훈련을 함.- 팀작업을 바탕으로 영상 콘텐트츠를 제작 완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함
- 미디어 진로 세미나 (Media Career Seminar)
-
본 강의는 언론학과의 유관 직종에의 취업과정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제중심학습(PBL)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이 종사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시장분석과 직무분석, 회사분석을 수행하는 데 수업의 목표가 두고 있다. 시장분석은 자신이 종사하고자 하는 분야의 시장 상황에 대한 자료조사와 그에 따른 분석으로 이뤄지며, 회사분석은 시장분석에 따라 자신이 종사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과정이다. 직무분석은 자신의 진로분야에서 어떤 직무를 수행하는지에 대한 분석이다
- 소비자심리와 광고PR마케팅 (Consumer Psychology and Advertising PR Marketing)
-
이 수업은 소비자 심리학에 대한 이해, 즉 소비자 동기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광고PR마케팅 분야의 소비자 심리분석의 사례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 미디어영상콘텐츠제작(2) (Video Production Practical Training (2))
-
지역은 문화의 근간이다. 문화는 지역을 바탕으로 수용되고 그 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정착한다. 본 수업은 이와 같이 지역의 특성을 담고 있는 문화요소들을 취재를 통해 발굴하고 이를 단순히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활용해 다양한 매체에 걸맞는 스토리텔링을 시도함으로써 문화 요소들의 가치를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이를 활용하는 지점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영상, 그 중에서도 다큐멘터리라는 매체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그에 걸맞는 스토리텔링을 진행함으로써 매체의 특성에 걸맞는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 디지털콘텐츠산업론 (Digital contents industry)
-
디지털기술은 콘텐츠산업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바꾸고 있다. 이에 본 교과목에서는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을 이해하고, 이 이해를 기초로 하여 여러 디지털콘텐츠산업 분야의 현황을 정리하면서, 궁극적으로 디지털콘텐츠산업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분야가 인문학적인 스토리에 있음을 깨닫게 하고자 한다.
- 디지털미디어 스토리텔링 (Digital Media Storytelling)
-
기존의 미디어에서 디지털 환경으로 옮겨오면서 스토리텔링이 진화하고 있다. 모든 청중이 같은 텍스트를 제공받았던 과거의 스토리텔링에 비해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개별 청중마다 처음과 끝이 달라지고 작품의 시간과 줄거리까지 유동적인(non-linear) 특성을 보인다. 다중 접속 온라인 게임, 인터넷,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스마트 토이, 무선기기, 인터랙티브 시네마, DVD 등등 수많은 미디어의 특성을 감안하여,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핵심적인 전략과 구체적인 제작 노하우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한국의 현실에 적용해 보는 연습을 한다.
- 광고홍보기획실습 (Advertising PR Planning Practice)
-
기획은 전략의 꽃이다. IMC의 핵심 영역인 광고PR의 성공적 실행을 위하여 광고와 PR의 기본개념과 이론 및 기획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실습과 실전 공모참여를 통해 실용학문으로서의 광고PR에 관한 집행 과정을 학습한다. 광고PR에 관한 아이디어를 기획으로 바꾸고 이를 기획서로 민들고 최종적으로 프레젠테이션하기까지의 전 과정에 필요시되는 능력을 실습을 통해 체험한다.
- 1인 미디어의 이해와 실습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ersonal Media)
-
1인 미디어의 이해와 실습 과목은 1인 미디어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1인 미디어 콘텐츠의 기획능력을 높이고자 함. 팀 작업을 바탕으로 1인 미디어 콘텐트츠를 기획하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함
- 사회트렌드 읽기 (Reading Social Trend)
-
트렌드란 그 사회의 문화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트렌드는 그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한다. 가치관의 변화는 트렌드의 변화를 가져 오고 당연히 문화의 변화를 야기한다. 가치관(은 측정이 가능하기에)을 알 수 있다면 더 나아가 변화 추이를 알 수 있다면 트렌드의 변화는 물론이고 그에 따른 마케팅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사회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 것인가'라는 큰 물음에 어떻게 가치관이 바뀔 것인가"라는 작은 실험의 다양한 경험은 바로 트렌드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이다.